유튜브 민파고 채널샷의 높이를 가리기 때문에
근육을 가압 서포트하여 무릎 재활을 할 수 있는 온천 무릎 서포터
[롭샷 편]
라이너샷은 임팩트 있을 때
오른발 뒤꿈치를 끈적끈적한 다리가 되도록 쳐서
폴로스루 때는 자연스럽게
왼쪽으로 체중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오른발 뒤꿈치를 띄우도록 합니다.
이에 반해 '롭샷'은
폴로스루때에도 오른발 뒤꿈치를
끈적끈적한 다리로 남겨둡니다.
라이너 샷은 임팩트 있을 때
좌우 균등하게 하중을 가하는 이미지인데,
로브샷은 오른발에 하중이 많이 남아 있는 상황으로 만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라이너 샷 자세보다
약간 오른쪽 다리 쪽에 체중을 실어서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른발에 체중을 싣는 이미지로는
오른쪽 무릎을 약간 깊게 굽혀서 자세를 잡는 느낌이네요.
로브샷에서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게
'다후리'입니다.
로프트각 0도의 클럽을 불과 3cm정도의
티 높이 사이에서 위로 향해야 하므로
어떻게 해서든 밑에서 끌어올리는 움직임을 무의식적으로
해버리기도 하고,
우측에 하중이 남아 있기 때문에
몸도 오른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스윙의 최하점이 보다 오른쪽이 됩니다.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스탠스를 약간 오픈으로 잡고,
그립 방향을 목표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클럽 페이스는 자연스럽게 위를 향하며,
볼의 세트 위치도 자연스럽게 스윙의
최하점에 놓을 수 있습니다.
이 이론을 자세히 해설하고 있는 것이
러프로부터의 간단 탈출법에 실려 있기 때문에,
꼭 참고해 보세요.
로브샷은 단단한 공을
키보다 큰 위치에 날리는 샷이기 때문에
혼잡한 코스에서는 위험을 동반합니다.
안전이 확보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절대로 치지 맙시다.
이번 동영상에서는, 비거리가 나오는 로브샷을 쳤는데,
로브샷은 비거리를 낸다기보다는
반대로 짧은 거리의 코스로 러프를 통해
핀을 직접 겨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비거리면 라이너 굴리기로
페어웨이를 확실히 노리는 편이 로브샷보다
비거리가 늘어납니다.
또한 본격적인 여름을 맞이하면
잔디의 저항이 강해지고,
비에 잔디가 젖으면 공이
굴러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그럴 때에
로브샷을 칠 수 있으면
코스 공략 방법이 다양해지기 때문에
익혀두고 싶은 기술이죠.
[파크골프] 샷 높이를 가르는 민파고 채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