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분류

과목별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계획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폐기물처리기사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품질경영기사 품질경영산업기사 플라스틱창호기능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중급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 한국수어교원자격검정 한복기능사 한식조리기능사 항공기관정비기능사 경영지도사 1차 1교시 경영지도사 1차 2교시 항공기체정비기능사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기계가공기능장 항공산업기사 건설안전기사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화공기사 화공기사(구) 화약류관리기사 화재감식평가기사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화학분석기능사 화학분석기사 화훼장식기능사 화훼장식기사 환경기능사 정보보안기사 필기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구) 양복기능사 에너지관리기능장 영사기능사 건설안전산업기사 전파전자통신기사 정보처리기사(구) 조리기능장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화학분석기사(구)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제법개론 건설재료시험기능사 금속재료기능장 건설재료시험기사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1종 2종(2020년판)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제과기능장 건축기사 항로표지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일반 건축산업기사 건축설비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학 건축설비산업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9급 국가직 공무원 네트워크보안 방수산업기사 공유압기능사 9급 국가직 공무원 노동법개론 유통관리사 2급 공인중개사 1차 공인중개사 2차 9급 국가직 공무원 무선공학개론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공조냉동기계기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유통관리사 1급 유통관리사 3급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 관광통역안내사 1교시 관광통역안내사 2교시 교통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국내여행안내사 굴삭기운전기능사 산업보건지도사 귀금속가공기능사 금속도장기능사 금속재료기사 금속재료산업기사 금속재료시험기능사 금형기능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세법개론 기계가공조립기능사 기계가공조립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기계정비산업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수학 기상기사 네트워크관리사 1급 네트워크관리사 2급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농기계운전기능사 농기계정비기능사 대기환경기사 광학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미용장 산업안전지도사 대기환경산업기사 수산양식기능사 압연기능장 9급 국가직 공무원 영어 제강기능장 제선기능장 도시계획기사 통신기기기능사 통신선로기능사 항공전자정비기능사 IoT지식능력검정 건설기계정비기능장 건축목공산업기사 건축목재시공기능장 건축일반시공기능장 건축일반시공산업기사 귀금속가공기능장 귀금속가공산업기사 금형제작기능장 도자기공예기능사 디지털영상편집 1급 반도체설계산업기사 디지털영상편집 2급 선체건조기능사 리눅스마스터 1급 원자력기사 의류기사 이용장 임업종묘기능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정밀측정기능사 리눅스마스터 2급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조선기사 주조기능사 주조기능장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철도운송산업기사 철도차량정비기능장 판금제관기능장 표면처리산업기사 한복산업기사 항로표지기능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시스템보안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9급 국가직 공무원 통계학개론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원리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무선설비기사 가구제작기능사 시설원예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임업경영 인쇄기사 인쇄산업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경비지도사 1차(법학개론,민간경비론) 경비지도사 2차(경비업법) 경비지도사 2차(경호학) 경비지도사 2차(기계경비개론) 경비지도사 2차(기계경비기획및설계)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경찰공무원(순경) 경찰학개론 치공구설계산업기사 경찰공무원(순경) 과학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경찰공무원(순경) 사회 경찰공무원(순경) 수사 경찰공무원(순경) 수학 경찰공무원(순경) 영어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경찰공무원(순경) 행정법 경찰공무원(순경) 형법 표면처리기능장 피아노조율기능사 경찰공무원(순경) 형사소송법 물류관리사 1교시 국내여행안내사 1차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물류관리사 2교시 농산물품질관리사 1차 기계설계기사 목공예기능사 기계정비기능사 미용사(네일) 미용사(일반)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농업기계산업기사 전기철도산업기사 미용사(피부) 정보보안기사 조선산업기사 바리스타 2급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광고도장기능사 광학기능사 교통산업기사 농림토양평가관리산업기사 농업기계기사 동력기계정비기능사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무선설비기능사 보석가공기능사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석공예기능사 섬유디자인산업기사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구) 수산물품질관리사 1차 수산제조기사 신발류제조기능사 연삭기능사 원형기능사 임산가공산업기사 방송통신기사 전산응용조선제도기능사 제품디자인산업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주조산업기사 철도차량기사 철도토목기능사 포장기사 포장산업기사 피아노조율산업기사 항공기사 해양공학기사 해양자원개발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기기 배관기능사 방송통신기능사 배관기능장 버섯종균기능사 염색기능사 변리사 1차(1교시) 변리사 1차(2교시) 제품디자인기사 변리사 1차(3교시) 철도토목산업기사 보석감정사(기능사) 판금제관산업기사 항로표지산업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이론 비서 1급 비서 2급 비서 3급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어로산업기사 식육가공기사 사진기능사 유기농업산업기사 인쇄기능사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전자공학개론 임상심리사 1급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잠수산업기사 잠수산업기사(구) 사회복지사 1급(1교시)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사회복지사 1급(2교시) 사회복지사 1급(2교시)(구) 사회복지사 1급(3교시) 전기철도기사 전산세무 1급 사회복지사 1급(3교시)(구) 사회조사분석사 1급 전산세무 2급 사회조사분석사 2급 전산회계 1급 전산회계 2급 산림기능사 9급 국가직 공무원 조림 산림기사 감정평가사 1차 1교시 감정평가사 1차 1교시(구) 감정평가사 1차 2교시 산림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구)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산업안전기사 직업상담사 1급(구) 9급 국가직 공무원 직업상담심리학개론 축로기능사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산업안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구) 설비보전기사(구) 산업위생관리기사 실내건축기사(구) 임업종묘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구)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중급(폐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폐지) 9급 국가직 공무원 한국사 통신선로산업기사 화공기사(구)(구) 해양조사산업기사 해양환경기사 생산자동화기능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설비보전기능사 설비보전기사 세탁기능사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업화학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소방시설관리사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 소음진동기사 소음진동산업기사 손해평가사 수능(경제) 수능(국사)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총론 수능(국어영역) 수능(동아시아사) 수능(물리I)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 수능(물리II) 수능(법과정치)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수능(생명과학I) 수능(생명과학II) 수능(생활과윤리) 수능(세계사)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수능(세계지리) 수능(윤리와사상) 수능(지구과학I) DIAT 정보통신상식 수능(지구과학II) 수능(한국근ㆍ현대사) 수능(한국사) 수능(한국지리) 수능(화학I) 수능(화학II) 수산양식기사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수질환경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계리직공무원 우편 및 금융상식 계리직공무원 컴퓨터 일반 계리직공무원 한국사 DIAT 정보통신상식(구) 스포츠경영관리사 승강기기능사 농작업안전보건기사 누설비파괴검사기사 누설비파괴검사기사(구) 승강기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직선거법 승강기산업기사 시각디자인산업기사 식물보호기사 소방공무원(경력) 생활영어 소방공무원(경력) 소방관계법규 소방공무원(공개) 과학 소방공무원(공개) 사회 소방공무원(공개) 소방관계법규 소방공무원(공개) 수학 소방공무원(공개) 한국사 소방공무원(공개) 행정법총론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 식물보호산업기사 식품가공기능사 식품기사 식품산업기사 식품산업기사(구) 시각디자인기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실내건축기능사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구) 실내건축기사 실내건축산업기사 임산가공기사 압연기능사 ERP 인사 2급 실무 양장기능사 에너지관리기능사 에너지관리기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ERP 인사 2급 이론 열처리기능사 온실가스관리기사 용접기능사 용접기능장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용접기사 용접산업기사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표면처리기능사 워드프로세서 2급(폐지) ERP 회계 2급 실무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화약취급기능사 워드프로세서 3급(폐지) 원예기능사 웹디자인기능사 위험물기능사 위험물기능장 ERP 회계 2급 이론 위험물산업기사 유기농업기능사 기계조립산업기사 유기농업기사 응용지질기사 의공기사 의공산업기사 의료전자기능사 이용사 FAT 1급 인간공학기사 생물분류기사(동물) 생물분류기사(식물) 인터넷보안전문가 2급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일반기계기사 FAT 1급(구) 임산가공기능사 임상심리사 2급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FAT 2급 자기비파괴검사기사 자기비파괴검사기사(구)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자동차정비기능사 FAT 2급(구) 자동차정비기능장 자동차정비기사 PC정비사 1급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잠수기능사 전기공사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기능사 전기기능장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PC정비사 2급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항공무선통신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전산회계운용사 1급 전산회계운용사 2급 전산회계운용사 3급 전자계산기기능사 전자계산기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전자기기기능사 전자기기기능장 RFID-GL 전자기사 전자부품장착기능사 전자산업기사 TAT 1급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전자상거래운용사 전자출판기능사 전자캐드기능사 TAT 2급 전파전자기능사(구) 전파전자통신기능사 전파통신기능사(구) 정밀측정산업기사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TAT 2급(구) 정보처리기능사 실기(베타) 정보처리기사 가스기능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제과기능사 제빵기능사 9급 지방직 공무원 간호관리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9급 지방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설계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9급 지방직 공무원 사회 9급 지방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수학 9급 지방직 공무원 식용작물 9급 지방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영어 9급 지방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임업경영 9급 지방직 공무원 자료조직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이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9급 지방직 공무원 지방세법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역사회간호학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회계학 제선기능사 조경기능사 PSAT 상황판단 PSAT 언어논리 PSAT 자료해석 PSAT 헌법 조경기사 조경산업기사 조리산업기사(공통) 조주기능사 종자기능사 종자기사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가스기능장 종자산업기사 주택관리사보 1차 주택관리사보 2차 지게차운전기능사 지게차유사(롤러,기중기등) 지적기능사 지적기사 지적산업기사 수산양식산업기사 직업상담사 2급 직업상담사 2급(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가스기사 철도신호기사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구)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구)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구)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구)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구)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구)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정학개론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축산기능사 축산기사 축산산업기사 측량기능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침투비파괴검사기사 침투비파괴검사기사(구)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가스산업기사 컨벤션기획사 2급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컬러리스트기사 컬러리스트산업기사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간호관리(8급)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업화학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설계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보건행정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복지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지적)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안전관리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영어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응용역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의료관계법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임업경영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료조직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난관리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기기기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기이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보호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봉사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계획및생태관리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학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역사회간호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법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컴퓨터일반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통신이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유공자)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항해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법총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화학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화학공학일반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회계학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가맹거래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활용능력 1급 컴퓨터활용능력 2급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콘크리트기능사 콘크리트기사 콘크리트산업기사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텔레마케팅관리사 토목기사 토목산업기사 토양환경기사 통신설비기능장 특수용접기능사 건설기계설비기사 패션디자인산업기사

시험일자 : 2020년 9월 26일

1. 택벌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3.44%, 94/128)
  • ① 양수 수종의 갱신에 적당하다.
  • ② 일시 벌채량이 많아 경제적이다.
  • ③ 소면적이 임지에서 보속생산이 가능하다.
  • ④ 임목 벌채가 쉽고 치수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묘포 작업 중 밭갈이, 쇄토, 작상 작업의 효과가 아닌 것은?
(정답률: 89.47%, 102/114)
  • ① 잡초의 발생을 억제한다.
  • ② 유용 토양미생물이 증가한다.
  • ③ 토양의 통기성을 증가시켜 준다.
  • ④ 토양의 풍화작용을 지연시켜 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장미과에 속하는 수종은?
(정답률: 47.97%, 59/123)
  • ① Taxus cuspidata
  • ② Prunus serrulata
  • ③ Albizia julibrissin
  • ④ Populus davidiana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잎에 유관속이 1개인 수종은?
(정답률: 61.21%, 71/116)
  • ① Pinus rigida
  • ② Pinus densiflora
  • ③ Pinus koraiensis
  • ④ Pinus thunbergii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종자가 휴면하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75.21%, 88/117)
  • ① 미성숙한 배
  • ② 가스교환 촉진
  • ③ 종피의 기계적 작용
  • ④ 종자 내의 생장억제 물질 존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가지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8.5%, 84/107)
  • ① 벚나무는 절단면이 잘 유합된다.
  • ② 지름 5cm 이상의 가지를 잘라낸다.
  • ③ 형질이 좋은 수목을 대상으로 우선 실시한다.
  • ④ 살아있는 가지를 치는 시기는 봄부터 여름까지가 좋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풀베기 작업을 실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는?
(정답률: 89.09%, 98/110)
  • ① 3월~5월
  • ② 6월~8월
  • ③ 9월~11월
  • ④ 12월~1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수목의 내음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66.34%, 67/101)
  • ① 버드나무와 자작나무는 양수이다.
  • ② 양수는 음수보다 광포화점이 높다.
  • ③ 음수는 어릴 때 그늘에서 잘 견딘다.
  • ④ 양수와 음수를 구분하는 기준은 햇빛을 좋아하는 정도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측아의 발달을 억제하는 정아우세 현상에 관여하는 호르몬은?
(정답률: 76.7%, 79/103)
  • ① 옥신
  • ② 지베렐린
  • ③ 사이토키닌
  • ④ 아브시스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개화 및 결실 과정에서 화기의 구조와 종자 또는 열매의 상호 관계를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정답률: 77.42%, 72/93)
  • ① 자방-종자
  • ② 배주-열매
  • ③ 낙핵-배유
  • ④ 주피-종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수목의 개화생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70.71%, 70/99)
  • ① 지베렐린은 개화에 영향을 미친다.
  • ② 개화 능력은 유전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
  • ③ 생리적 스트레스를 주면 개화가 억제된다.
  • ④ 수목의 영양 상태를 좋게 하면 개화가 촉진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임목 종자의 품질기준 중 효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81.72%, 76/93)
  • ① 발아율과 순량율을 곱한 값이다.
  • ② 종자가 일제히 싹트는 힘을 의미한다.
  • ③ 씨앗의 충실도를 무게로 파악하여 나타낸다.
  • ④ 전체 종자수에 대한 발아 종자수의 백분율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산벌작업에서 결실량이 많은 해에 일부 임목을 벌채하여 종자 산포를 돕는 것으로 1회의 벌채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정답률: 67.02%, 63/94)
  • ① 후벌
  • ② 간벌
  • ③ 하종벌
  • ④ 예비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토양 입자에 매우 큰 분자 인력에 얇은 층으로 흡착되어 있는 토양 수분은?
(정답률: 60.82%, 59/97)
  • ① 결합수
  • ② 흡습수
  • ③ 모관수
  • ④ 중력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수목 생육에 있어 필요한 다량 원소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57.45%, 54/94)
  • ① 황
  • ② 철
  • ③ 붕소
  • ④ 아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순림과 비교한 혼효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91.01%, 81/89)
  • ① 병충해나 기상재해에 대한 저항력이 높다.
  • ② 산림작업과 경영을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③ 원하는 수종으로 임분을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다.
  • ④ 임목의 벌채비용 절감 등 시장성이 유리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왜림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64.77%, 57/88)
  • ① 단벌기 작업에 적합하다.
  • ② 연료재와 소경재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 ③ 벌채 계절은 늦겨울부터 초봄 사이가 좋다.
  • ④ 참나무류, 아카시아나무, 소나무가 주요 대상 수종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무성 번식에 의한 묘목이 아닌 것은?
(정답률: 85.23%, 75/88)
  • ① 용기묘
  • ② 삽목묘
  • ③ 접목묘
  • ④ 취목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양묘과정 중 해가림 시설을 해야 하는 수종으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정답률: 78.49%, 73/93)
  • ① 편백, 삼나무, 아까시나무
  • ② 곰솔, 소나무, 가문비나무
  • ③ 잣나무, 소나무, 사시나무
  • ④ 잣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활엽수림의 어린나무가꾸기 작업에 가장 효과적인 시기는?
(정답률: 55.32%, 52/94)
  • ① 3월~5월
  • ② 6월~8월
  • ③ 9월~11월
  • ④ 12월~2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1. 미국횐불나방의 포식성 천적이 아닌 것은?
(정답률: 53.19%, 50/94)
  • ① 꽃노린재
  • ② 무늬수종다리좀벌
  • ③ 검정명주딱정벌레
  • ④ 흑선두리먼지벌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유충 시기에 모여 사는 해충이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정답률: 83.87%, 52/62)
  • ① 매미나방
  • ② 천막벌레나방
  • ③ 미국흰불나방
  • ④ 어스렝이나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솔껍질깍지벌레 방제 방법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38.2%, 34/89)
  • ① 항공 방제는 살충 효과가 높다.
  • ② 나무주사는 정착약충 시기인 12월~1월에 실시한다.
  • ③ 테부코나졸 유탁제를 사용하여 나무주사를 실시한다.
  • ④ 3월경에 뷰프로페진 액상수화제를 줄기나 가지에 살포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의무적 휴먼을 하는 해충은?
(정답률: 44.32%, 39/88)
  • ① 솔나방
  • ② 솔잎혹파리
  • ③ 솔노랑잎벌
  • ④ 솔껍질깍지벌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미끈이하늘소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50%, 39/78)
  • ① 유아등을 이용하여 성충을 유인한다.
  • ② 딱따구리와 같은 포식성 천적을 보호한다.
  • ③ 유충의 침입공에 접촉성 살충제를 주입한다.
  • ④ 지표에 비닐을 피복하여 땅 속에서 우화하여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뽕나무 오갈병 방제 방법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32.53%, 27/83)
  • ① 새삼을 제거한다.
  • ② 저항성 품종을 보식한다.
  • ③ 스트렙토마이신을 주입한다.
  • ④ 매개충인 담배장님노린재를 구제하기 위하여 7월~10월까지 살충제를 살포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살충제는?
(정답률: 77.11%, 64/83)
  • ① 접촉제
  • ② 유인제
  • ③ 소화중독제
  • ④ 침투성 살충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온도에 따른 수목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46.99%, 39/83)
  • ① 봄철에 내린 늦서리의 피해를 만상의 피해라고 한다.
  • ② 서릿발의 피해는 점토질 토양의 묘포에서 흔히 발생한다.
  • ③ 냉해는 세포 내에 결빙이 생겨 수목의 생리현상이 교란된다.
  • ④ 강한 복사광선으로 인해 수목 줄기에 볕데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67.47%, 56/83)
  • ① 균사
  • ② 자낭구
  • ③ 분생자병
  • ④ 분생포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43.75%, 35/80)
  • ① 아바멕틴 유제를 수간에 주입하여 예방한다.
  • ② 밀생 임분은 간벌하여 쇠약목이 없도록 한다.
  • ③ 매개충의 우화시기에 살충제를 항공 살포한다.
  • ④ 벌채한 원목은 페니트로티온 유제로 훈증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녹병균이 형성하는 포자는?
(정답률: 62.2%, 51/82)
  • ① 난포자
  • ② 유주자
  • ③ 겨울포자
  • ④ 자낭포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다음 곤충의 피부 조직 중에서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것은?
(정답률: 64.63%, 53/82)
  • ① 기저막
  • ② 내원표피
  • ③ 외원표피
  • ④ 진피세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대기오염에 의한 수목의 피해 정도가 심해지는 경우가 아닌 것은?
(정답률: 85.37%, 70/82)
  • ① 높은 온도
  • ② 높은 광도
  • ③ 영양원 과다
  • ④ 높은 상대 습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다음에 해당하지 않는 수목병은?
(정답률: 56.63%, 47/83)
  • ① 포플러 잎녹병
  • ② 벚나무 빗자루병
  • ③ 붉나무 빗자루병
  • ④ 사철나무 흰가루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세균성 뿌리혹병 방제 방법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37.97%, 30/79)
  • ① 유기물과 석회질 비료를 충분히 준다.
  • ② 스트렙토마이신으로 나무주사를 실시한다.
  • ③ 혹을 제거한 부위에 석회황합제를 도포한다.
  • ④ 심하게 발병한 지역에서는 2년 후 묘목을 생산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밤바구미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32.47%, 25/77)
  • ① 유아등을 이용하여 성충을 유인한다.
  • ② 훈증 시에는 메탐소듐 액제를 25℃에서 12시간 처리한다.
  • ③ 알과 유충이 열매 속에 서식하므로 천적을 이용한 방제는 어렵다.
  • ④ 성충기인 8월 하순부터 클로티아니딘 액상수화제를 수관에 살포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잣나무 잎떨림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44%, 33/75)
  • ① 병든 부위를 제거하고 도포제를 처리한다.
  • ② 자낭포자가 비산하는 시기에 살균제를 살포한다.
  • ③ 늦봄부터 초여름 사이에 병든 잎을 모아 태우거나 땅에 묻는다.
  • ④ 수관 하부에 주로 발생하므로 풀베기와 가지치기를 하여 통풍을 좋게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기생성 종자식물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44.44%, 32/72)
  • ① 매년 겨울에 겨우살이를 바짝 잘라낸다.
  • ② 새삼을 방제하기 위하여 묘목을 침지하여 소독한다.
  • ③ 새삼이 무성하고 기주가 큰 가치가 없으면 제초제를 사용한다.
  • ④ 겨우살이가 자라는 부위로부터 아래쪽으로 50cm이상 잘라낸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수목이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79.75%, 63/79)
  • ① 감수성
  • ② 저항성
  • ③ 병원성
  • ④ 내병성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소나무 재선충병을 일으키는 매개충은?
(정답률: 92.86%, 78/84)
  • ① 알락하늘소
  • ② 미끈이하늘소
  • ③ 북방수염하늘소
  • ④ 털두꺼비하늘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1. 흉고직경과 중앙직경의 비율로 표시하여 임목의 완만도를 의미하는 것은?
(정답률: 56.94%, 41/72)
  • ① 형율
  • ② 직경율
  • ③ 절대형율
  • ④ 상대형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임업 원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72.31%, 47/65)
  • ① 제품의 생산 수준에 따라 비례하는 원가를 변동 원가라 한다.
  • ② 특정 제품의 생산만을 위해서 발생한 원가를 직접 원가라 한다.
  • ③ 과거에 이미 현금을 지불하였거나 부채가 발생한 원가를 매몰 원가라 한다.
  • ④ 어떤 생산 수준에서 제품의 여러 단위를 더 생산할 때 추가로 발생하는 원가를 한계원가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산림의 가치 평가 방법으로 재화의 판매가격의 최저한도 결정에 활용에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60.61%, 40/66)
  • ① 비용가
  • ② 매매가
  • ③ 기망가
  • ④ 자본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산림 조사에서 험준지에 해당하는 경사는?
(정답률: 65.67%, 44/67)
  • ① 15~20°
  • ② 20~25°
  • ③ 25~30°
  • ④ 30°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임지기망가가 최대값에 도달하는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41.18%, 28/68)
  • ① 조림비가 클수록 늦어진다.
  • ② 이율의 값이 클수록 빨라진다.
  • ③ 관리비가 많아질수록 늦어진다.
  • ④ 간벌 수익이 많을수록 빨라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윤척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84.38%, 54/64)
  • ① 수간 축에 직각으로 측정한다.
  • ② 흉고부(지상 1.2m)를 측정한다.
  • ③ 경사진 곳에서는 임목보다 낮은 곳에서 측정한다.
  • ④ 흉고부에 가지가 있으면 가지 위나 아래를 측정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25년생 잣나무 임분의 입목재적이 45m2/ha이고 수확표의 입목재적은 50m2/ha이라면 입목도는?
(정답률: 78.95%, 45/57)
  • ① 0.5
  • ② 0.7
  • ③ 0.9
  • ④ 1.1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자연휴양림 시설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정답률: 64.71%, 44/68)
  • ① 수익시설
  • ② 위생시설
  • ③ 체육시설
  • ④ 체험·교육시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임목축적, 생장률, 생장량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5.74%, 34/61)
  • ① 생장률이 일정할 경우 임목축적이 작으면 생장량은 커진다.
  • ② 임목축적이 일정한 산림의 경우 생장률과 생장량은 반비례한다.
  • ③ 임목축적이 매우 많은 경우 생장률도 상승하여 생장량이 커진다.
  • ④ 생장률이 높아도 임목축적이 매우 작으면 생장량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이율의 크기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아닌것은?
(정답률: 45.16%, 28/62)
  • ① 대출 기간
  • ② 자본의 크기
  • ③ 자본 투하의 위험성
  • ④ 투하 자본의 유동성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국유림에서 임목생산을 위한 기준벌기령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37.1%, 23/62)
  • ① 잣나무: 60년
  • ② 참나무류: 50년
  • ③ 일본잎갈나무: 30년
  • ④ 리기다소나무: 20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산림 경영의 지도 원칙 중 경제 원칙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39.06%, 25/64)
  • ① 합자연성 원칙
  • ② 공공성의 원칙
  • ③ 보속성의 원칙
  • ④ 환경보전의 원칙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수간석해를 통하여 계산할 수 없는 것은?
(정답률: 50.85%, 30/59)
  • ① 근주 재적
  • ② 지조 재적
  • ③ 소단부 재적
  • ④ 결정간 재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산림문화·휴양 기본계획은 몇 년마다 수립·시행 하는가?
(정답률: 58.06%, 36/62)
  • ① 5년
  • ② 15년
  • ③ 10년
  • ④ 20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기계톱의 구입가가 100만원, 내용 연수는 10년, 폐기 시 가격이 20만원일 때 정액법에 의한 감가상각비는?
(정답률: 92.73%, 51/55)
  • ① 2만원/년
  • ② 8만원/년
  • ③ 10만원/년
  • ④ 20만원/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임상 개량의 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임시적으로 설정하는 예상적 기간은?
(정답률: 45.16%, 28/62)
  • ① 회귀년
  • ② 갱신기
  • ③ 윤벌기
  • ④ 정리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이율이 4%이고 매년 말에 수익이 200만원일 때 자본가는? (단, 무한연년수입의 전가합계식으로 산정)
(정답률: 67.24%, 39/58)
  • ① 50만원
  • ② 192만원
  • ③ 208만원
  • ④ 5,000만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연년생장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9.49%, 41/59)
  • ① 벌기에 도달했을 때의 생장량
  • ② 총생장량을 임령으로 나눈 양
  • ③ 일정한 기간 내에 평균적으로 생장한 양
  • ④ 임령이 1년 증가함에 따라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수확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산림 수확 조절 방법으로 다수의 목표를 가지는 의사 결정 문제의 해결에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62.5%, 35/56)
  • ① 목표계획법
  • ② 정수계획법
  • ③ 선형계획법
  • ④ 비선형계획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투자 비용의 현재가에 대하여 투자의 결과로 기대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 비율을 나타내어 현금유입의 현재가 비율을 나타내어 투자효율을 결정하는 방법은?
(정답률: 35.48%, 22/62)
  • ① 순현재가치법
  • ② 투자이익율법
  • ③ 수익비용률법
  • ④ 내부투자수익률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1. 산림자원의 조성을 위한 산림관리기반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률: 84.75%, 50/59)
  • ① 작업로
  • ② 작업임도
  • ③ 간선임도
  • ④ 지선임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2. 임도 개설시 흙을 다지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72.88%, 43/59)
  • ① 투수성의 증대
  • ② 지지력의 증대
  • ③ 압축성의 감소
  • ④ 흡수력의 감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3. 컴퍼스 측량에서 전시와 후시의 방위각 차는?
(정답률: 79.31%, 46/58)
  • ① 0°
  • ② 90°
  • ③ 180°
  • ④ 27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4. 다음의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정답률: 67.24%, 39/58)
  • ① 100, 800, 400
  • ② 200, 800, 600
  • ③ 100, 1,000, 800
  • ④ 200, 1,000, 6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5. 고저 측량에 있어서 후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2.5%, 35/56)
  • ① 기지점에 세운 수준척 눈금의 값이다.
  • ② 미지점에 세운 수준척 눈금의 값이다.
  • ③ 중간점에 세운 수준척 눈금의 값이다.
  • ④ 측량 진행 방향에 세운 수준척 눈금의 값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6. 1/25,000 지형도 상에서 A점과 B점간의 표고차이가 400m이고 거리가 20cm인 경우 종단경사는?
(정답률: 56.25%, 27/48)
  • ① 2%
  • ② 4%
  • ③ 8%
  • ④ 1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7. 임도의 시공면과 산지의 경사면이 만나는 점을 연결한 노선의 종축은?
(정답률: 77.97%, 46/59)
  • ① 영선
  • ② 중심선
  • ③ 지반선
  • ④ 지형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8. 지형지수 산출 인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률: 75%, 42/56)
  • ① 식생
  • ② 곡밀도
  • ③ 기복량
  • ④ 산복경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9. 임도에서 길어깨의 주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72.73%, 40/55)
  • ①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곳이다.
  • ② 임목의 집재 작업을 위한 공간이다.
  • ③ 노상시설, 지하매설물, 유집보수 등의 작업시 여유를 준다.
  • ④ 차량 주행의 여유를 주어 차량이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0. 임도의 합성기울기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지형여건이 불가피한 경우는 제외)
(정답률: 67.92%, 36/53)
  • ① 간선임도의 경우 15% 이하로 한다.
  • ② 지선임도의 경우 14% 이하로 한다.
  • ③ 포장 노면인 경우 13% 이하로 한다.
  • ④ 비포장 노면인 경우 12% 이하로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1. 교각법을 이용하여 임도 곡선을 설치할 때, 교각이 90°, 곡선반경이 400m인 단곡선에서의 접선길이는?
(정답률: 58.14%, 25/43)
  • ① 50m
  • ② 100m
  • ③ 200m
  • ④ 40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2. 임도에서 대피소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72.34%, 34/47)
  • ① 대피소의 간격은 300m 이내, 너비는 5m 이상, 유효길이는 10m 이상이다.
  • ② 대피소의 간격은 300m 이내, 너비는 5m 이상, 유효길이는 15m 이상이다.
  • ③ 대피소의 간격은 500m 이내, 너비는 5m 이상, 유효길이는 10m 이상이다.
  • ④ 대피소의 간격은 300m 이내, 너비는 5m 이상, 유효길이는 15m 이상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3. 옹벽의 안정도를 계산 검토해야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
(정답률: 48.21%, 27/56)
  • ① 전도에 대한 안정
  • ② 활동에 대한 안정
  • ③ 침하에 대한 안정
  • ④ 외부응력에 대한 안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4. 임도계획의 순서로 옳은 것은?
(정답률: 65.45%, 36/55)
  • ① 임도노선 선정 → 임도노선배치 계획 → 임도밀도 계획
  • ② 임도밀도 계획 → 임도노선배치 계획 → 임도노선 선정
  • ③ 임도노선배치 계획 → 임도노선 선정 → 임도밀도 계획
  • ④ 임도밀도 계획 → 임도노선 선정 → 임도노선배치 계획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5. 임도의 노체와 노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5%, 39/52)
  • ① 쇄석을 노면으로 사용한 것은 사리도이다.
  • ② 노체는 노상, 노반, 기층, 표층 순서대로 시공한다.
  • ③ 토사도는 교통량이 많은 곳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다.
  • ④ 노상은 임도의 최하층에 위치하여 다른 층에 비해 내구성이 큰 재료를 필요로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6. 급경사지에서 노선거리를 연장하여 기울기를 완화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평면선형에서의 곡선은?
(정답률: 67.31%, 35/52)
  • ① 완화곡선
  • ② 복심곡선
  • ③ 반향곡선
  • ④ 배향곡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7. 임도의 총길이가 2km이고 산림 면적이 100ha이면 임도 간격은?
(정답률: 80.43%, 37/46)
  • ① 100m
  • ② 250m
  • ③ 500m
  • ④ 1,00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8. 가선집재 시 머리기둥과 꼬리기둥에 장착하여 본줄의 지지를 하는 도르래는?
(정답률: 54%, 27/50)
  • ① 죔 도르래
  • ② 안내도르래
  • ③ 삼각도르래
  • ④ 짐달림도르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9. 식생이 사면 안정에 미치는 효과가 아닌 것은?
(정답률: 72.92%, 35/48)
  • ① 표토층 침식 방지
  • ② 심층부 붕괴 방지
  • ③ 강우 및 바람에 의한 토양 유실 방지
  • ④ 급경사지에서 수목 자체 무게로 인한 토양 안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0. 롤러의 표면에 돌기를 부착한 것으로 점착성이 큰 점성토나 풍화연암 다짐에 적합하며 다짐 유효깊이가 큰 장점을 가진 기계는?
(정답률: 79.59%, 39/49)
  • ① 탠덤롤러
  • ② 댐핑롤러
  • ③ 타이어롤러
  • ④ 머캐덤롤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1. 비탈 옹벽공법을 구조에 따라 분류한 것이 아닌 것은?
(정답률: 62.96%, 34/54)
  • ① T형 옹벽
  • ② 돌쌓기 옹벽
  • ③ 부벽식 옹벽
  • ④ 중력식 옹벽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2. 콘크리트를 쳐서 수화작용이 충분히 계속되도록 보존하는 것은?
(정답률: 77.78%, 42/54)
  • ① 풍화
  • ② 배합
  • ③ 경화
  • ④ 양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3. 퇴적암에 속하지 않는 암석은?
(정답률: 72.41%, 42/58)
  • ① 혈암
  • ② 사암
  • ③ 응회암
  • ④ 섬록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4. 선떼붙이기 시공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66%, 33/50)
  • ① 완만한 비탈지에서는 떼붙이기 할 때 표토를 절취할 필요가 없다.
  • ② 선떼의 활착을 좋게 하고 견고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지기를 충분히 한다.
  • ③ 바닥떼는 발디딤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저급 선떼붙이기에는 필수적이다.
  • ④ 머리떼는 천당네 놓인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여 선떼의 견도고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5. 직선유로에서 유수의 차단 효과가 가장 큰 사방댐의 설정 방향으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78.26%, 36/46)
  • ① 유심선에 직각으로 설정
  • ② 유심선과 관계없이 설정
  • ③ 유심선에 평행 방향으로 설정
  • ④ 유심선에 45°의 방향으로 설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6. 산복수로에서 쌓기공작물의 높이가 3m이고 수로의 길이가 1m일 때 수로받이의 적절한 길이는?
(정답률: 52.5%, 21/40)
  • ① 2.0m~4.0m
  • ② 4.0m~6.0m
  • ③ 6.0m~8.0m
  • ④ 8.0m~10.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7. 콘크리트 기슭막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5.81%, 24/43)
  • ① 앞면 기울기는 1:0.5를 기준으로 한다.
  • ② 유수의 충격력이 적고 비교적 계안침식이 적은 곳에 설치한다.
  • ③ 신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1m마다 신축줄눈을 설치한다.
  • ④ 뒷면 기울기는 토압에 따라 결정하지만 대개 수직으로 계획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8. 비탈면 끝에 흐르는 계천의 가로침식에 의하여 무너지는 침식 현상은?
(정답률: 72.55%, 37/51)
  • ① 산붕
  • ② 붕락
  • ③ 포락
  • ④ 산사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9. 산지 붕괴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73.33%, 33/45)
  • ① 토양 속의 간극수압이 낮을수록 많이 발생한다.
  • ② 풍화토층과 하부기반의 경계가 명확할수록 많이 발생한다.
  • ③ 화강암 계통에서 풍화된 사질토와 역질토에서 많이 발생한다.
  • ④ 풍화토층에 점토가 결핍되면 응집력이 약화되어 많이 발생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0. 돌골막이 시공 높이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답률: 27.45%, 14/51)
  • ① 2m 이내
  • ② 3m 이내
  • ③ 4m 이내
  • ④ 5m 이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1. 사방댐의 방수로 단면결정을 위한 계획홍수량 산정에 시우량법을 이용할 경우 계산인자가 아닌것은?
(정답률: 70%, 35/50)
  • ① 조도계수
  • ② 유역면적
  • ③ 유출계수
  • ④ 최대시우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2. 발생기대본수가 3,000본/m2, 평균입도 1,000립/g인 종자가 순량율이 50%, 발아율이 80%라면 1ha의 비탈면에 필요한 종자량은?
(정답률: 65%, 26/40)
  • ① 55kg
  • ② 75kg
  • ③ 550kg
  • ④ 750k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3. 사방사업 대상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정답률: 73.08%, 38/52)
  • ① 황폐계류
  • ② 황폐산지
  • ③ 벌채 대상지
  • ④ 생활권 훼손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4. 하천 바닥에 자갈과 모래의 움직임이 발생하지만 침식이 일어나지 않아 하상 종단면의 형상에는 변화가 없는 것은?
(정답률: 61.22%, 30/49)
  • ① 임계기울기
  • ② 안정기울기
  • ③ 홍수기울기
  • ④ 평형기울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5. 코코넛 섬유를 원료로 한 비탈덮기용 재료는?
(정답률: 83.33%, 40/48)
  • ① 튤 파이버
  • ② 쥬트 네트
  • ③ 그린 파이버
  • ④ 코이어 네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6. 해안방재림 조성 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정답률: 41.67%, 20/48)
  • ① 사초심기
  • ② 나무심기
  • ③ 퇴사울세우기
  • ④ 정사울세우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7. 사방댐의 형식을 외력에 의한 저항력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50%, 25/50)
  • ① 중력댐
  • ② 아치댐
  • ③ 강제댐
  • ④ 3차원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8. 낙석방지망덮기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68.75%, 33/48)
  • ① 철망 눈의 크기는 5mm 정도이다.
  • ② 합성섬유망은 100kg 이내의 돌을 대상으로 한다.
  • ③ 와이어로프의 간격은 가로와 세로 모두 4~5m 정도로 한다.
  • ④ 철망, 합성섬유망 등을 사용하여 비탈면에서 낙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9. 사방공작물 중 횡공작물이 아닌 것은?
(정답률: 46.3%, 25/54)
  • ① 사방댐
  • ② 둑쌓기
  • ③ 골막이
  • ④ 바닥막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0. 다음 설명에서 주어진 장소에 가장 적합한 산복수로는?
(정답률: 58.49%, 31/53)
  • ① 떼수로
  • ② FRP관수로
  • ③ 콘크리트수로
  • ④ 돌(메붙임)수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